Over the course of many years, without making any great fuss about it, the authorities in New York disabled most of the control buttons that once operated pedestrian-crossing lights in the city. Computerised timers, they had decided, almost always worked better. By 2004, fewer than 750 of 3,250 such buttons remained functional. The city government did not, however, take the disabled buttons away—beckoning countless fingers to futile pressing.
Initially, the buttons survived because of the cost of removing them. But it turned out that even inoperative buttons serve a purpose. Pedestrians who press a button are less likely to cross before the green man appears, says Tal Oron-Gilad of Ben-Gurion University of the Negev, in Israel. Having studied behaviour at crossings, she notes that people more readily obey a system which purports to heed their input.
Inoperative buttons produce placebo effects of this sort because people like an impression of control over systems they are using, says Eytan Adar, an expert on human-computer interaction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n Arbor. Dr Adar notes that his students commonly design software with a clickable “save” button that has no role other than to reassure those users who are unaware that their keystrokes are saved automatically anyway. Think of it, he says, as a touch of benevolent deception to counter the inherent coldness of the machine world.
That is one view. But, at road crossings at least, placebo buttons may also have a darker side. Ralf Risser, head of FACTUM, a Viennese institute that studies psychological factors in traffic systems, reckons that pedestrians’ awareness of their existence, and consequent resentment at the deception, now outweighs the benefits. | 뉴욕 당국은 수년에 걸쳐 대단치 않은 일이라는 듯이 횡단보도 신호등 버튼 대부분을 작동 정지하였다. 컴퓨터로 제어하는 타이머가 기능 면에서 대개 낫다고 결론을 내린 바였다. 2004년에 이르러서는 버튼 3,250개 중 750개 남짓이 작동하였다. 그러나 시 당국이 정지한 버튼을 수거하지 않아서 수많은 이들이 손가락을 부질없이 놀리게 되었다. 처음에는 제거 비용이 들기 때문에 버튼이 살아남을 수 있었다. 하지만 작동하지 않는 버튼도 어떤 구실을 한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탈 오론길라드(이스라엘 벤구리온 대학교)에 의하면 버튼을 누르는 보행자는 파란불이 켜지기 전에는 길을 건너지 않는 경향이 있다. 오론길라드는 횡단보도에서 일어나는 행동 양식을 연구해오면서 사람이 자신의 인풋에 의거하여 작동하는 시스템을 더욱 거리낌없이 따른다고 보았다. 작동하지 않는 버튼이 이러한 플라세보 효과를 내는 이유는 사람이 자신이 사용하는 시스템을 통제하고 있다는 느낌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말한 인간과 컴퓨터 상호작용 전문가인 에이턴 아다르 박사(앤아버 시 소재 미시간 대학교)는 자신이 지도하는 학생들이 소프트웨어를 설계할 때면 클릭할 수 있되, 입력 사항이 자동 저장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용자를 안심시키는 역할을 할 뿐인 저장 버튼을 넣곤 한다고 밝혔다. 박사의 말에 따르면 기계 세상 특유의 냉혹함에 맞서는 일말의 따스한 속임수로 여기길 바란다고. 앞서 관점 하나를 소개하였다. 그러나 플라세보 버튼은 도로 건널목에서만은 보다 어두운 면을 띠기도 한다. 빈에 위치하며 교통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요소를 연구하는 기관인 FACTUM의 수장인 랄프 리서는 보행자가 그 존재를 알아차리고 느끼는 속았다는 분한 마음이 버튼의 이점을 압도하리라고 추측한다. |